Editor's Note

공자의 조카 공멸과 제자 복자천은 모두 말단 공무원으로 일하고 있었다. 어느 날 공자가 조카에게 물었다.

“그 일을 하면서 네가 얻은 것은 무엇이고 잃은 것은 무엇이냐?”

“얻은 것은 전혀 없고, 세 가지를 잃었습니다. 첫째, 일이 너무 많아서 학문에 힘쓸 수 없습니다. 둘째, 월급이 너무 적어서 친척들을 잘 대접하지 못했습니다. 셋째, 업무에 쫓기다 보니 친구들과 사이가 멀어졌습니다.”

얼마 뒤 공자는 제자 복자천에게 똑같은 질문을 했다.

“잃은 것은 하나도 없고, 얻은 것이 세 가지나 됩니다. 첫째, 글로 알던 것을 실행해 보면서 배운 학문이 더 견고해졌습니다. 둘째, 월급을 아껴 친척들을 대접하니 사이가 더 가까워졌습니다. 셋째, 바쁜 틈틈이 친구들을 만나니 우정이 더 돈독해졌습니다.”

두 사람은 같은 일을 하고 같은 월급을 받았지만 전혀 다르게 살았다. 삶을 대하는 태도, 즉 마음가짐이 달랐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여건이 안 좋거나 돕는 사람이 없다는 등의 이유를 대면서 사는 게 어렵다고 말할 때가 있다. 그런데 똑같이 열악한 환경에서도 얼마든지 행복하게 사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에서, 무엇보다 마음가짐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작은 일도 마음을 써서 하라고, 겸손해야 한다고, 그래야 훌륭한 사람이 된다고 배웠다. 훌륭한 사람은 어떤 일이든 마음을 써서 하기에 적은 돈이나 시간도 아주 가치 있게 사용할 줄 알고, 주위 사람들과 화목하게 지내면서 자신도 더 발전해 간다. 

그렇다면 우리가 가장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마음가짐은 어떤 것일까? 그것은 자신을 누구보다 부족하고 못난 사람이라고 여길 때일 것이다. 그런 사람은 어떤 일도 함부로 하지 않고, 어떤 사람도 함부로 대하지 않는다. 여기에 아주 중요한 조건이 하나 있다. 내가 다른 사람보다 뛰어나야 행복하다는 관념이 먼저 버려져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공부든 운동이든 생활태도든 남보다 뛰어나야 한다고 배웠다. 사회생활도 뭐든 잘해야 더 나은 대접을 받을 수 있고, 평균에도 못 미치 면 열등생 소리를 들어야 한다. 잘해야 행복하다는 이 관념만 버릴 수 있으면, 못나고 약할수록 행복의 체감은 강렬해진다. 이런 사람은 자신의 의미가 작고, 자신을 신뢰하기 어려우므로 마음의 빈 공간이 넓어져서 무언가를 받아들이기에 좋다. 그릇으로 치면 빈 그릇이다. 빈 마음에 깊은 사랑이나 지혜의 가르침을 받아들여 담으면 순식간에 마음이 아름다워진다.

동시에, 자신 같은 사람이 그런 마음을 품을 수 있음에 끝없는 감사가 밀려온다. 당연히 자신이 누리는 행복을 주위의, 자신보다 나은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진다.

자신의 가치가 크면 상대적으로 다른 사람의 가치는 작아진다. 그런 사람은 항상 주인공이 되어야 하고, 다른 사람들은 자신에게 박수를 보내는 들러리여야 직성이 풀린다. 다른 사람을 위하고 싶은 마음은 애초에 품어본 적도 없다. 주위에서는 그를 고마워하거나 그리워하지 않는다.

그 사람은 실제로 섬처럼 외로운 사람으로 살아가야 한다. 반면에 자신이 실력이 있고 돈이 많아도 스스로 모자라고 형편없는 사람이라는 것을 안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자신이 가진 것들을 형편없는 자신을 위해 쓰기보다는, 더 가치 있는 일이나 사람들을 위해 쓰고 싶어진다.

잘나야 행복하다는 관념을 고수하면, 못난 나를 인정하는 것이 곧 패배자가 되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그러나 마음에서 패배자인 것을 한번만 인정하면 삶이 굉장히 변한다.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고맙고, 하루를 사는 것이 많은 부분에서 즐겁다. 게다가 자신의 약하거나 어두운 면을 봐도 실망하지 않는다. 그것이 원래 자신의 모습이니까. 상황이 잘 풀리지 않아도 속상해하거나 조급해하지 않고 기다릴 줄도 안다. 그렇게 살면 주위 사람들이 그를 가치 있게 여기고 소중하게 생각하며 그리워한다.

훌륭한 마음가짐을 갖는 것도 아름답지만, 자신이 형편없다는 마음가짐으로 살 때 우리는 좀 더 근원적인 행복을 경험하고 감사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그래서 진정한 삶의 가치는 패배를 받아들일 때 비롯된다.

글=조현주 발행인

저작권자 © 데일리투머로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