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주요 대학의 정시 모집 전형 비중을 늘린다는 입장을 발표하자 학생과 학부모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10년간 정시 축소·수시 확대 기조를 유지해온 교육부가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갑자기 정시 확대 추진에 나서 정치적 셈법이 작용한 게 아니냐는 의혹마저 일고 있다.

이진석 고등교육정책실장은 2일 “수시와 정시 비중이 8대 2 수준으로 쏠림 현상이 심해졌고 9대 1까지 확대될 조짐도 보였다. (2022학년도 수능을 위한) 대입정책 포럼 등에서도 정시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며 정시 확대를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교육부는 4차에 걸친 '대입정책 포럼'을 통해 학생과 학부모 등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를 바탕으로 급격한 수시 비중 확대에 따라 정시 비율이 현저히 낮고 수시 비율이 높은 서울 주요 5개 대학에 수시 쏠림 현상을 우려하는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는 입장이다.

한편 학부모들은 정시 비중을 늘리는 것은 찬성하지만 교육부가 정시모집 확대 쪽으로 방향을 튼 것은 수시모집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이 '깜깜이 전형'임을 스스로 인정하는 셈이라며 "교육부가 하루가 멀다 하고 전혀 예상치 못한 대입정책을 내놓는 바람에 정시와 수시를 둘 다 필사적으로 준비하는 아이만 더 힘들게 됐다"고 했다.

정시모집 확대로 학종 비중이 축소될 수 있는 만큼 고교의 교육과정 개선 의지를 꺾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공립고 교사는 "상대적으로 학생들의 성적이 다소 처지는 지역에서는 학교 프로그램 개선으로 돌파할 수 있는 전형이 그나마 학종뿐이다. 정시가 확대되면 학종에 맞춘 교육력 향상 분위기가 주춤해질 수 있다"고 했다.

한편 교육부는 최근 각 대학에 정시모집 확대를 독려하는 등 해마다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수시모집에 제동을 걸고 있다. 이에 수도권 주요 대학은 2020학년도 입시에서 정시비중 확대를 계획 중이다. 대교협에 따르면 전국 4년제 대학은 2016학년도에 전체 모집인원의 67%가량을 수시모집으로 뽑았지만 2019학년도에는 76%를 수시로 선발한다.

저작권자 © 데일리투머로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