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근로자가 640만명을 돌파하고 비중도 확대됐지만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임금 등 격차는 더 커진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8월 기준 임금근로자는 1962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31만5000명(1.6%) 늘었다.

정규직 근로자는 1318만3000명으로 14만2000명(1.1%) 증가했고 비정규직 근로자는 644만4000명으로 더 큰 폭인 17만3000명(2.8%) 늘었다.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은 32.8%로 0.3%포인트 상승했다.

비정규직 근로자가 늘어난 것은 시간제 근로자가 증가한 영향이다.

시간제 근로자는 248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24만7000명(11.0%) 늘었다. 정부가 고용 유연성을 늘리고 여성의 경력단절을 막고자 시간제 근로를 장려한 탓으로 보인다.

기간제 등을 뜻하는 한시적 근로자(365만7000명)는 1만9000명(0.5%), 파견·용역 등 비전형 근로자(222만명)는 1만4000명(0.6%) 증가했다.

비정규직 근로자를 성별로 보면 여성(353만8000명)이 54.9%로 남성(290만6000명·45.1%)보다 높았다. 여성 비중은 1년 전보다도 0.9%포인트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중고령층에 몰렸다. 60세 이상(146만8000명)이 22.8%로 가장 비중이 컸고 그다음이 50대(138만2000명·21.5%)였다. 은퇴 후 생계를 위해 비정규직 일자리에 취업한 경우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최근 3개월(6∼8월) 월평균 임금은 149만4000원으로 2만7000원(1.8%) 증가했다.

정규직 근로자 279만5000원의 절반 수준이다.

성별, 연령, 근속 기간, 직업, 산업 등을 동일하게 제한한 후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 격차를 비교하면 10.5%로 나타났다. 이 비중은 0.3%포인트 확대됐다.

복지 수준 격차는 더욱 컸다.

소폭 상승하긴 했지만 퇴직급여를 받는 비정규직 근로자는 40.9%, 시간외수당을 받는 비율은 24.4%에 그쳤다. 이 비율은 정규직에선 각각 85.5%, 58.4%였다.

상여금을 받는 비정규직은 38.2%로 오히려 0.8%포인트 하락했고 유급휴일을 받는 비정규직도 0.5%포인트 줄어든 31.4%였다. 상여금을 받는 정규직은 85.4%, 유급휴일이 있는 경우는 74.3%였다.

통계청이 이날 함께 발표한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 8월 기준 비경제활동인구는 1594만1000명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데일리투머로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