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보보호 산업 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 육성에 주력해 현재 18개 수준인 정보보호 스타트업 수를 오는 향후 5년간 100개로 늘리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9일 제8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향후 5년간 정보보호산업의 육성과 전문 일자리 창출을 견인할 ‘제1차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가칭 K-ICT 시큐리티 2020)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계획은 지난해 제정된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오는 2020년까지 추진할 기본 계획이다. 

미래부는 범정부 차원에서 제1차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을 수립하고, 창업 활성화와 해외진출을 중심으로 정보보호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20년까지 정보보호 창업기업 100개, 글로벌 강소기업 10개를 육성하는 한편, 현재 1조6000억원 규모인 정보보호 수출규모를 4조5000억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스타트업 창업, 해외시장 진출 기업 확대, 정보보호 투자확대 등을 통해 약 1만 9000개의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정보보호 투자확대 및 신시장 창출 전략으로 공공부문의 정보보호 예산을 지속 확대하고, 민간의 정보보호 투자에 인센티브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유지보수비 외에 보안성 지속서비스 대가를 현실화하고 민·관 합동으로 불공정 발주 관행 해소 등 제값 주는 문화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의료, 에너지, 교통, 홈·가전·제조 등 5대 ICT 융합 제품·서비스 개발시 설계 단계부터 보안기능을 적용하도록 추진하고, 지능형 CCTV, 바이오인식, 스마트카드, 빅데이터 기반 영상분석 등 4대 미래유망 물리보안산업의 육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판교에 제2의 융합보안 환경 테스트 베드를 구축할 예정이다. 전세계적으로 사이버 대응이 빅데이터, 인공지능(AI)을 바탕으로한 자율 대응으로 전환되고 있는 만큼 하반기 지능형 AI에 기반한 정보대응체계를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정부는 창업활성화 전략으로 침해대응 시설, 인력 양성기관 등을 집적한 정보보호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글로벌 펀드 및 엑셀러레이터와 연계해 유망 스타트업의 발굴에서 사업화까지 전단계 지원을 강화한다. 

미래부는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간 사이버 위협정보 공유를 확대하고, 이를 활용해 기업이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국경을 초월한 사이버위협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미·중·일 등 주요국 사이버 대응기관과 국제 공조도 강화한다.

현재 지능형 사이버보안 대응기술은 미국 국토안보부와 사물인터넷(IoT) 보안기술은 카네기멜론, UC버클리대와 공조를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투머로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